할루시네이션 (Hallucination):
GPT Chat과 같은 인공지능 (AI) 언어 모델에서 '할루시네이션'은 주어진 데이터 또는 맥락에 근거하지 않은 잘못된 정보나 허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뜻한다.
이는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데이터나 입력 데이터의 부족, 또는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인공지능 개발자들은 할루시네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학습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 시키거나, 입력 데이터의 검증을 강화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질문은 구체적으로 질문하는 사항에대해 자신이 어느정도 알고있어야하며,
.같은 질문도 한두단어를 덧붙이는 것으로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다시 정리하면
1. 구체적이고 명확한 질문.
2. 필요한 배경정보를 포함한다.
3. 전문용어나 약어를 사용할때 의미를 정확하게
4. 사용 목적, 답변의 목적 등 목적을 명확하게
5. 가정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 또한 명확하게
6. 복잡하거나 변수가 있는 질문은 단계별로
7. AI가 제공한 정보는 확인이 필요.
대표적 사례...
세종대왕 맥북프로 던짐사건.
"세종대왕의 맥북프로 던짐사건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일화로 15세기 세종대왕이 새로 개발한 훈민정음의 초고를 작성하던중 문서 작성 중단에 대해 담당자에게 분노해 맥북프로와 함께 그를 방으로 던진사건입니다."라고 엉뚱한 역사지식을 전하더라는 거죠. 내용대로라면 조선시대에 이미 노트북을 우리나라가 만든 대단한 나라가 된 것 입니다... 이런 질문을 끌어내는 질문이 " 조선왕조 실록에 기록된 세종대왕 맥북프로 던짐 사건에 대해 알려줘. " 였어요.
지금은 파인튜닝 으로 그런 사건은 일어나지 않지만 초창기 상당한 화제가 된 답변 입니다.
'[흡수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처님 오신날! (0) | 2024.05.15 |
---|---|
백일 때부터 책 읽어주니, 나중엔 아이 혼자 수천 권 읽더군요 (0) | 2016.05.02 |
연봉 8200만원 회사원 "800만원 기부했다가…" (0) | 2013.03.04 |
잘나가는 직장인의 4가지 특징은? (0) | 2012.11.22 |
한국 언론이 침묵한 삼성 스마트폰의 '진실' (0) | 2012.11.02 |